채권가압류와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
법원으로부터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을 받고 채권자 A에게 압류금을 지급해오고 있는 중 법원으로부터 법원에서 채권자 B의 채권가압류 서류가 추가로 온 경우에는 계속해서 전부명령권자에게만 압류금을 지급하면된다. 추심명령의 경우인 경우에는 안분배당이지만 전부명령은 확정되면 개인회생 중지명령을 제외하고 전부권자에게 돈을 모두 지급하여야 한다.
참고로 전부명령은 후순위로 다른 채권자들의 압류를 들어와도 전부명령권자 혼자 돈을 다 받을수 있
지만, 만약에 채무자가 퇴사를 해버리면 그 채권자의 전부명령은 효력을 잃어버리는 위험이 있다.
'부동산, 채권집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외국인도 대습상속인이 될 수 있는지 여부와 그에 대한 등기절차 (0) | 2018.01.08 |
---|---|
임의경매와 강제경매의 차이(집행권원) (0) | 2016.09.25 |
법원 "개인 부실채권 무더기로 인수해 추심은 변호사법 위반" (0) | 2016.02.11 |
불법사채 피해 청구 못한다. 최고금리 한도 정한 ‘대부업법’ 올해부터 효력 잃어 (0) | 2016.01.21 |
재항고이유와 심리의 불속행 : 부동산등기법 제32조 2항 단서 (0) | 2016.01.20 |